진주(2)_飛鳳山 風水 > 노변정담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노변정담

진주(2)_飛鳳山 風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대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2-23 18:32 조회8,809회 댓글6건

본문


진주의 비봉산은 진주 도심의 북쪽에서 시내를 에워싸고 있는 표고 162m의 나지막한 산으로서 동서로 크게 날개를 펼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서쪽 날개는 두고개(137m)와 당산재(140m)가 되고, 동쪽 날개는 말티와 선학산(134m)이 된다.
비봉산의 남쪽으로는 시가지가 비봉산을 배산으로 형성되었고, 시가지의 남쪽으로 남강(南江)이 진주 시내를 에워싸면서 흐른다. 비봉산 서쪽에는 가마못[釜池]이 있었고, 진주에서 합천으로 통하는 도로가 지난다. 산을 중심으로 비봉공원이 형성되어 있으며 산 동쪽에 의곡사(義谷寺)와 연화사 등이 있고, 서쪽 기슭에는 비봉루(飛鳳樓)가 있으며, 진주강씨 시조 강이식(姜以式) 장군의 충의를 기리기 위한 봉산사라는 사당이 있다.
비봉산은 역사적으로 진주 읍치의 진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적으로는 봉황이 나는 듯한 형국을 하고 있어서 ‘비봉(飛鳳)’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그런데 진주 읍치의 풍수적 형국은 봉황이 활짝 날개를 편 비봉형이어서 봉황을 머물게 하려는 갖가지의 비보방책이 가장 큰 특징을 이룬다. 비봉산과 관련된 비보풍수적 경관으로 남강변의 대숲, 객사 앞에 있었던 봉명루(鳳鳴樓), 대롱사(大籠寺)와 소롱사(小籠寺) 등이 있고, 비봉산으로 인해 생겨나 붙여진 지명으로는 죽동(竹洞)·망진산(網鎭山)·작평(鵲坪) 등과 가마못의 설화가 전승되고 있다. 그밖에도 비봉산 자락에 취락을 이루었던 진주강씨는 비봉산과 관련된 취락 및 주택 풍수로서 봉지(鳳池)·봉암(鳳岩)·봉란대(鳳卵臺)·봉강재(鳳降齋) 등의 갖가지 풍수적 사연들을 가지고 있다.
비봉산의 풍수는 옛 진주 주민들의 전래적인 풍수적 환경 인식과 그에 상응한 역사적 경관 형성의 사례를 잘 보여준다. 비봉산의 풍수는 진주가 입지하고 있는 자연적 여건에 상징적이고도 실용적으로 적응하고자 한 문화생태학적인 환경 적응의 한 방식으로서 오늘날의 생태적 가치에 비추어 새롭게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풍수는 자연환경의 질서와 이치를 생명의 원리로 사유하고 사람과의 조화로운 관계 맺기를 추구하는 전통적 지혜로서, 오랫동안 한국의 취락 입지 및 조경, 공간배치와 구성, 건축 등에 널리 활용되었다.
진주의 비봉산은 읍의 진산이자 풍수적 주산으로서 진주 주민들의 환경인식 및 그에 상응한 풍수적 경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진주의 읍지인『진양지』(1633)에는 진주의 비봉산 형국과 관련된 풍수적 경관조성 및 지명유래를 아래와 같이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진주의 진산은 비봉형(飛鳳形)이요 안산은 금롱(金籠)이니 관기(官基)가 그 아래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방의 배포(排布)는 모두 다 봉(鳳)이라는 이름으로 붙였으니 객사의 앞에는 누각으로 봉명(鳳鳴)이라는 것이 있고 관(館)으로 조양(朝陽)이 있으며 마을 이름으로 죽동(竹洞)이 있다. 벌로수(伐老藪) 및 옥현(玉峴)이라는 곳에 대를 심었는데 죽실(竹實)은 봉(鳳)이 먹는 것이기 때문이다. 산 이름을 망진(網鎭)이라고 한 것은 봉(鳳)이 그물을 보면 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롱(大籠),소롱(小籠)이라는 절이 있는 것은 봉(鳳)이 새장에 갇혀 머문다는 것이며, 들에 작평(鵲坪)이 있는 것은 봉(鳳)이 까치를 보면 날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상도의 큰 고을이었던 진주는 그 중심취락이 있는 읍치를 전통적인 공간 인식 체계인 풍수적 공간구조화 방식에 따라 위치를 정의하고 영역화 하였다. 거주지 공간의 영역화는 먼저 거주지의 아름다움[形勝]과 산줄기의 체계를 밝히는 방식 및 위치를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사신사(四神砂: 좌 청룡, 우 백호, 전 주작, 후  현무)의 풍수적 국면과 형국의 설정을 통해 내부와 외부를 구분한다.
진주 고을 입지의 아름다움에 관해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비봉산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를,시내와 산의 경치가 영남 제일이요, 큰 산과 큰 강이 있어 인물이 많고 물산이 영남 여러 주의 절반이다. 비봉산은 북쪽에서 멈춰 있고 망진산은 남쪽에서 공손히 절한다. 이 두 산 사이에 긴 강이 흐르는데 동서의 여러 산이 구불구불 사방을 둘러섰다고 묘사하였다. 이 내용에서 보듯이 전통적으로 진주의 입지는 비봉산을 주산으로 삼고 망진산을 안산(案山)으로 삼아 대응하는 축을 설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강을 앞에 끼고 있는 배산임수의 풍수적 입지 환경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진주의 산천체계가 갖춰진 비봉의 형국은 진주의 번영을 보장하는 것으로 옛 진주 사람들은 믿었다. 그 한 예증으로서 『진양지』는 봉황의 왼쪽 날개에 해당하는 말티고개[馬峴]로 대로를 내고 난 후 조선 초에 융성했던 인재가 줄었다는 기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승되는 설화에 의하면, 한양에서 지관이 와서 남쪽 강변을 통해 진주로 들어오던 길을 바꾸어 말티고개 중간허리를 파서 곧바로 진주로 들어오도록 하면 인재가 전보다 배나 더 나올 것이라고 하자 그 말을 따랐다고 한다. 그런데 말티고개는 비봉의 왼쪽 날개인데, 사람들이 여기에 큰길을 내서 날개를 끊어 놓았으니 봉황이 힘차게 날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일이 있은 후에 진주에는 인재가 전만 못하게 되었으니, 한양 지관의 속임수를 진주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비봉산의 단맥설화의 다른 유형으로서 가마못에 관련된 내용도 전래된다. 가마못의 원래 이름은 서봉지로, 봉이 이 못에서 쉬었다는 전설이 있고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는 진주에 강·하·정의 성씨들의 집안에 인물이 많이 나는 것은 비봉산의 정기를 타고났기 때문이라고 여기고 무학대사로 하여금 비봉산의 맥을 끊은 후 봉이 쉬는 서봉지를 가마못이라 바꾸었다는 것이다. 가마솥처럼 펄펄 끓어 봉이 얼씬도 못하게 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비봉산의 산줄기 계통의 인식을 살펴보자면, 진주의 주산인 비봉산의 산줄기 계통에 대하여 『진양지』에덕유산의 한 맥이 동으로 달려 의령의 자굴산이 되고 자굴산이 서쪽으로 구부러져 집현산이 되었고, 진산 비봉산은 집현산이 남으로 내려온 것이라고 비봉산의 산줄기를 백두대간의 덕유산에서 근본하여 자굴산과 집현산의 계통을 거쳐서 진주에 이른 것으로 보았다.
일단 내부로 영역화된 공간은 다시 경관을 이상형으로 가꾸는 경관 보완을 거쳐 의미체계가 완성된다. 전통적으로 풍수적 경관보완을 비보(裨補)라고 하였는데, 역사적으로 영남 읍치의 진산에 대한 비보는 인공적인 조산, 숲 등의 자연소재, 조형물·놀이·이름 등의 문화상징적 양식이 있었고, 이들은 각각 형국비보·지맥비보·흉상비보 등의 풍수비보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진주의 풍수를 자세히 기술한 『진양지』「관기총론(官基總論)」에는진주의 진산은 나는 봉황의 모습이고 안산을 금롱으로 하고 있다. 관청의 터가 그 아래에 있고, 이 때문에 사방 배치에 모두 봉(鳳)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진주목의 읍치에 조성된 비보를 형태상으로 보자면 지명비보·사찰비보·숲비보 등이 나타났다.
지명비보는 이름을 불러 비보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심리적으로 상징적인 비보 형태로서 지세를 진압하거나 형국을 보완하는 기능의 사례가 많이 나타난다. 진주의 비봉산과 관련한 지명비보로는 망진산·작평·봉명루·대롱사·소롱사 등의 명칭이 있다. 망진산은 봉황이 날아가지 못하게 그물을 친다는 뜻이고, 작평은 봉황이 까치를 보면 날아가지 못한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대롱사와 소롱사 역시 봉황을 크고 작은 새장[籠]에 머물게 하고자 하는 의미이다. 특히 진주 고을의 흥망에 관련이 깊다고 생각한 영역비보는 남강과 그 지류에 조성한 숲이었다. 『진양지』「관기총론」에 옛날 흥성하던 시대에는 숲을 잘 기르고 벌목을 엄금하여 산천의 비호와 맑은 기운이 고을에 모였고, 인재가 무성하고 재상이 배출된 것이 어찌 산의 신령한 기운의 효험이 아니겠느냐. 이것들이 모두 도선(道詵)이 그 형세를 살펴 진압과 비보를 잘 배치한 것이다. 그의 말에숲이 없어지면 고을이 망하고, 누각이 높으면 고을이 망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반드시 보는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이는 숲을 고을의 번성을 상징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잘 보호했다는 것이다. 세월이 지나 금지가 해이해지고 숲을 지키지 못하게 되면서 인물도 줄게 되었다고 한다. 『진양지』에는 진주읍 서쪽에 가정수, 읍의 서편 상류쪽 청천수와 개량수, 읍의 동쪽 입구인 개경원 앞에 가방수, 그리고 하류 쪽 남강 북쪽 강변에 대평수 등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읍터를 비보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임수는 가정수(柯亭藪)이다. 가정수는 석갑산(石甲山)이 명당을 찌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조성한 풍수숲으로 『진양지』는 기록하고 있다. 지금도 촉석루 맞은편 강안에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남강의 대숲은 도시 가운데 남강변을 따라서 제방처럼 길게 늘어서 옛날부터 인상적이고 독특한 진주 남강의 경관으로 이름이 높았다. 그밖에도 비봉산과 관련한 촌락 및 주택풍수의 사실로서, 비봉산 자락의 상봉동동 911-1번지의 봉란대에는 진주강씨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전설이 전한다.
대봉산(大鳳山)은 진주의 뒷산, 지금의 비봉산이요, 봉곡촌(鳳谷村)은 지금의 진주시 상봉동동(上鳳東洞)과 상봉서동(上鳳西洞)의 두 동을 합친 마을 이름이다. 옛날 이 봉곡촌에는 강씨들만 집단으로 살았다. 이 봉곡촌 택지(宅誌)에는 진주강씨의 흥망성쇠와 관련된 대봉산(大鳳山) 봉지(鳳池), 봉암(鳳岩 : 봉바위), 봉란대(鳳卵臺 : 봉알자리), 봉강재(鳳降齋)의 사연들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강씨들이 정부 요직 높은 벼슬자리에 많이 있었기 때문에 세도가 대단하였다. 강구만(931~975)의 집(봉곡촌) 뒤에 큰 바위 하나가 있었는데 이 큰 바위 위에 또 하나의 작은 바위가 얹혀 있어 보기에 크고 작은 바위가 조화를 이루어 흡사 봉(鳳)의 형상과 같으므로, 칭하기를 봉바위(鳳岩)라 하였다. 어느 날 강남도사(江南道士)라는 사람이 이곳을 지나가다가 이 바위를 보고 하는 말이 "강씨지대성(姜氏之大盛)이 유차암고야(有此岩故也)라",  즉 강씨들의 대성함이 이 바위로 인하여 그렇다고 하였다. 그 후 강홍(1010~1122)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형제 열 한 사람이 경상(卿相)으로서 한 나라의 정권을 한 문중에서 장악하다시피 하였으니 그 부귀를 가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지원이라는 자가 그 세력을 시기하여 임금에게 강씨를 모함하여 사람을 시켜 몰래 봉바위를 부수니 그 바위 속에서 함박같이 생긴 흰 돌 네 개가 들어 있어 이를 철추(鐵椎)로 부수니 새빨간 피가 흘렀었다고 한다. 그 후 고려 인종 때에 척준경(拓俊京)이 임금에게 참소하기를 "강홍의 형제들 일당이 불의의 앙심을 품고 있으니 속히 조처하지 않으면 화를 당할 것이라." 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인종은 깜짝 놀라 "어떻게 하면 강홍 일가의 세력을 꺾을 수 있겠는가?" 하고 물으니 척준경은 말하기를 강홍과 그의 도당(徒堂)을 내치시고 그들의 향토 진주의 명소 지명을 고치소서." 하니 인종은 그 말이 옳다고 여겨 강홍의 형제와 일족을 죽이고 대봉산의 이름을 봉을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비봉산(飛鳳山)으로 고치고, 봉지(鳳池)의 명칭을 봉을 가마솥에 삶는다는 뜻으로 부지(釜池: 가마못) 이라 고쳤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강씨들은 한순간에 망하고 말았다. 오랜 세월이 흘러서야 많은 후손들이 번성하고 권력도 회복되어 전날의 선조들의 세도를 꿈꾸게 되었다.
현재 진주시 상봉동 911-11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봉란대(鳳卵臺)는 서기 1200~1300년 사이에 만들어졌는데, 어느 도승(道僧)이 봉곡촌을 지나가다 선대(先代)의 사적의 사연을 듣고 말하기를 날아간 봉황새는 알자리가 있으면 돌아오는 법이니 알자리를 만드소서하여 도승의 말대로 봉곡촌 중앙‘동산’에 봉황새의 알자리인 봉란대(봉알자리)를 만들었고 그 후손들이  이 자리에 시조인 강이식 장군의 유허비를 세웠다. 그리고 대봉산의 지맥인 봉래산(鳳來山) 밑에 서재를 마련하고 봉강재(鳳降齋: 봉이 날아오르는 서재)라 하였다.
진주의 비봉산과 관련한 여러 가지의 풍수비보의 한 사례로서 남강의 비보숲은 비봉 형국이라는 지역공동체의 지각적 영역을 만들기 위한 풍수적 상징성과 남강의 수해를 방지하기 위한 실용적 기능성이 겸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풍수적 상징성과 실용적 기능성은 문화생태학적인 환경 적응이라는 점에서 융합되어 통일되어 있다고 하겠다. 비봉 형국은 진주읍치를 공동체적 지각 공간으로 영역화하고자 하는 주민의 문화적 환경지각에 의한 경관 창출이다.
비봉산의 풍수적 사실에서 살펴보았지만, 풍수원칙에 따라 영역을 잘 구성함으로써 주민이 보호받고 자손이 복 받는다고 하는 풍수론은 공간 환경을 지각하는 텍스트였다. 이 텍스트에서 정의된 비봉형국은 진주 사람들이 자신의 거주공간을 영역화하는 지침이 되었다. 이러한 풍수적 텍스트에 따라 거주 공간을 내부 영역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차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숲비보는 홍수 등 수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비호되는 내부 영역을 구성함으로써 외부영역과 차별화하여 심리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진주 주민들은 비봉 형국의 산천 정기를 잘 갈무리하여 자손의 융성과 공동체의 번영을 기약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터전으로 하고 살고 있다는 긍지를 가질 수 있었다.
진주 비봉산의 풍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풍수적 국면의 설정은 외부로부터 자연적·사회적·군사적 위협을 방지하는 문화생태학적 경관구성 내지 영역화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기본적 원리는 산과 하천 제방을 통하여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를 설정하고 숲이나 조산과 비호물을 설치하여 영역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풍수적 구조가 공동체의 흥망과 관련이 된다는 사고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간의 안과 밖을 차별화하고 그 내부를 안전한 공동체적 장소로 만드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관 생산 활동은 풍수적 공간 환경 지각을 공유했던 전통시대에 공동체적 차원에서 다양한 비보 시설물의 구축활동으로 나타났으며, 비보물 보전이 공동체의 번영과 직결된다는 생각에서 비보경관은 각별한 관심으로 지켜졌다.
조선시대에 진주라는 지역공동체의 성쇠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생태학적 조절기제로 기능했던 남강의 비보숲은 현대에 들어와 도시화과정에서 주민들에게 잊혀져 강변을 제방이나 도로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훼손되었다. 그리고 비보사찰이었던 대롱사와 소롱사도 폐찰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망진산·작평 등의 다양하고도 흥미로운 비보지명의 의미도 오늘날의 진주 주민들에게는 단지 옛 이야기로만 남아 있다.

댓글목록

이균님의 댓글

이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박에게
수고하셨오! 읽을수록 눈앞에 사진같이 떠올라서
마치 아득한 추억마져 손에 잡힐듯하다만
어부인의 환후가 심각한데 이렇게 두 마음을 써주다니
정말 감사하다. 하지만 대박의 심란한 마음을 헤아려본다
이건 천천히 해도 되는데...
한선생님의 쾌유를 멀리서 빌고 또 빈다

김대규님의 댓글

김대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균이 친구 고맙소.

이런 자료라도 정리하지 않으면
마음이 괴로워서 안될 것 같다.

담즙이 누출되지 않도록
담즙관 안에 파이프를 삽입했다.
잘라낸 부분이 아물면 파이프는
다시 빼낼 예정이다.

복부에 흘러내린 담즙과
녹아내린 액은 복부에 배출관을 꽂아
바깥으로 빼내고 있다.

물론 내장 세척도 했다.
완전 사람 잡는 일이다.

아프질 말아야지...

이제 안정을 찿은 것 같다.
다 친구가 염려해준 덕분이다.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차용원님의 댓글

차용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진주에서 40년을 살았는데...진주의역사를 잘 설명해주시니 참고맙소이다
사모님 아프시다던데도
이런글을 올리는 정성에 감사드립니다

서성환님의 댓글

서성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배건네 대밭 탱자울타리집에서 나서
봉알자리를 거쳐  비봉의 왼쪽자락서
유년을 보내고 현재 천리수원의 화성
아래서 별 볼일없이 지내고있는 바
언제쯤 대박이 터질지 진대박께서
한번 짚어봐주서요.
그리고
어부인의 쾌활한 성품으로 미루어 금방 완쾌되리라봅니다.

김대규님의 댓글

김대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죽하, 서대감 고맙소.

대밭은 봉의 먹이이니
그냥 바라기만하면
봉의 먹이만 될 뿐이다.

봉이 대밭의 먹이만 노리지 않도록
술을 거나하게 사면
대박이 날 것으로 생각된다.

서성환님의 댓글

서성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의 댓글 작성일

대박에게 술대접은 상당히 경제적인 접대다
다만
수지사는 최대감이 동행하면
이야기는 달라지것지만..


copyright © 2017 http://61.105.75.163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