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예철교수에 관한 기사(좀 오래됨) > 노변정담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노변정담

손예철교수에 관한 기사(좀 오래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7-07-21 17:17 조회13,655회 댓글1건

본문

첫 중국 문자학 연구서 펴낸 손예철 교수
유석재기자 karma@chosun.com ico_blog.gif
입력 : 2003.10.15 16:24 38'

200310150201_00.jpg
▲ 손예철 한양대 교수는 “지식인들이 근거없이 자의적으로 한자를 해석하는 일은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 한영희기자
“요즘 학생들의 한자 이해 수준도 한심하지만, ‘한자를 잘 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가 모른다는 걸 모르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최근 연구서 ‘중국문자학’(아카넷)을 낸 손예철(孫叡徹·52) 한양대 인문과학대 중어중문학 전공 교수는 “모든 동양학 전공자들을 염두에 두고 썼다”고 말한다. 얼핏 ‘중국문자학’이란 말을 들으면 다른 나라의 지엽적인 학문이라 여기기 쉽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그것이 바로 우리가 수천년간 사용해 온 ‘한자(漢字)’에 대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분야의 종합적인 저서로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한자 본래의 자형(字形)과 본음(本音)·본의(本義)를 체계적으로 서술했습니다. 지금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해서체(楷書體)가 만들어지기까지 갑골문(甲骨文)에서부터의 변천 과정도 추적했죠.” 역사·철학·문학 등 동양학의 모든 분야에서 원문을 읽다가 ‘이 글자의 본래 뜻이 뭐였나’를 알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설명이다.
1995년부터 시작한 이번 연구는 서술도 서술이지만 그림과도 흡사한 1500여 옛 글자의 도판을 일일이 떠서 문장 중에 삽입시켜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국내 첫 연구이다 보니 용어의 번역도 신중해야 했다. ‘별혐’(別嫌·자형과 자의에서 혼동하기 쉬운 것을 구별하는 것)과 같은 단어는 마땅한 번역어가 없어 그대로 사용했다.
손 교수는 “문자학의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글자를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꽤 많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화(化)’자를 설명하면서 ‘사람 인(人)’과 ‘비수 비(匕)’가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데, ‘匕’라는 글자 자체가 ‘化’의 고자(古字)라는 것이다. 아전인수격인 해석도 많다. ‘효(孝)’자의 경우 젊은이[子]가 노인[老]을 업은 것이라며 ‘중국 고대의 봉건적 사상이 여기서 나온다’는 해석이 있는데, 손 교수는 이 글자에서 ‘업는다’는 뜻은 전혀 없다고 말한다. 좀더 심한 경우도 있다. 중국인들이 자신을 ‘하(夏)’라 하고 주변 민족을 ‘이(夷)’라 한 것에 대해 각각 ‘큰 집’과 ‘작은 집’으로 해석하지만 이는 전혀 터무니없다는 말이다.
“지식인들이 자기 마음대로 한자를 풀이하다 보니 원전 해석도 곳곳에 엉터리가 많습니다. 하지만 더 심각한 건 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이죠.” 분명히 인문계 고등학교에선 한자를 가르치는 것 같은데 갓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은 아예 자신과 부모님 성명 말곤 한자를 쓸 줄도 읽을 줄도 모르고, 그런 상태에서 중문과로 진학한다는 얘기다.
“별 수 있나요? 교양강의에서 ‘천자문’을 교재로 삼아 리포트를 엄청나게 많이 내줍니다. 1·2학년 중국어 강의도 외워 쓰기·말하기 위주로 하고….” 손 교수는 “한자를 다시 입시에 포함시키고 ‘세계화=영어화’라는 등식을 깨야만 올바른 교육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1년 어휘수 17만개의 ‘동아 중한사전’(두산동아)을 펴내기도 했던 손 교수는 “내년 말까진 중국 문자학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설문해자(說文解字)’의 역주본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표영현님의 댓글

표영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오랜 기간동안 한분야에서 꾸준하게 노력하여 빛나는 업적을 이룬 벗이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행복합니다.
계속 정진하여 대업을 이루길 바랍니다.


copyright © 2017 http://61.105.75.163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